[유인도서를 걷다]
한국 관광 공사가 선정한 휴양하기 좋은 섬 Best 30에 선정되기도 한 사도는 공룡이 살았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는 섬이다.
섬 전체 둘레가 짧아서 작은 시간에 둘러 볼 수 있고 해안선 길이가 6.4km 정도인지라 트래킹으로 둘러보기에 적당한 섬이며 낭도에서 철부선을 타고 들어가면 해안 절벽이 아름다운 추도는 손님이 있을 경우만 철부선이 운항하기에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사도를 중심으로 추도를 비롯하여 일곱 개의 섬이 빙 둘러 마주하고 있고, 사도 왼쪽의 연목과 나끝은 방파제로, 오른쪽 간도는 석교로 각각 연결돼 있다.
주소 : 전남 여수시 화정면 사도길 37
[기적의 바다를 걷다]
고흥 장도는 서당도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지도상으로는 진도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섬이며 2개의 섬으로 되어 있지만 간조에는 하나로 연결되는 섬이다.
또한 백일도와는 별개로 떨어져 있어 낚시인들을 실어 나르는 배를 타고 이동 하며 백일도 선착장하고 마주 하고 있어 작지만 어민들에게는 고마운 섬이다.
북서측은 간조 시 두 개의 섬으로 분리되며, 남측은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해조류와 어패류 야식장이 주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문암질 응회암이 주를 이루는 작은 섬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고흥군 과역면 백일리 산1007
[무인도서를 만나다]
고흥 장도는 서당도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지도상으로는 진도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섬이며 2개의 섬으로 되어 있지만 간조에는 하나로 연결되는 섬이다.
또한 백일도와는 별개로 떨어져 있어 낚시인들을 실어 나르는 배를 타고 이동 하며 백일도 선착장하고 마주 하고 있어 작지만 어민들에게는 고마운 섬이다.
북서측은 간조 시 두 개의 섬으로 분리되며, 남측은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해조류와 어패류 야식장이 주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문암질 응회암이 주를 이루는 작은 섬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고흥군 과역면 백일리 산1007
[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고흥 반도 동쪽 해안 끝에 위치한 백일도는 사실상 땅 끝 마을에 해당하며 어민들은 거의 홍합 야식과 바지락 양식에 종사하는 섬이다.
지금은 작은 연륙교인 백일 대교로 이어져 육지에 속하고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전라 좌수영 아래의 여도진에 속하였다가 진이 없어진 뒤에 돌산군 옥정면에 편입되었다가 이후 고흥군 남면에 속하게 되었다.
1937년 남면과 남양면의 일부를 통폐합하면서 과역면 백일리로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간척사업으로 인해 하나로 연결되면서 승용차를 이용하여 건널 수 있게 되었다.
주소 : 전남 고흥군 과역면 백일리
[유인도서를 걷다]
백일도 끝 자락에 위치한 모지랑 섬은 섬이라기 보다 선착장 끝자락에 위치하여 지금은 선착장 끝으로 연결되어 육지에 속하는 섬이 되었다.
과거에는 간조에 갯벌 속에 갇히는 작은 섬이었지만 육지와 가까워서 선착장 개설로 육지와 이어진 섬이 되었고 간조에 걸어서 가는 길마도와 마주 보고 있다.
주로 홍합 양식을 하고 있기에 선착장은 작은 작업선을 위주로 정박하고 있고 독대 마을과 연륙교로 이어져 있어 이름만 섬이지 육지로 편입된 지 오래되었다.
모지랑섬 옆으로 작은 암초로 보이는 여는 시린여라는 이름으로 현재 미등록 섬이다.
주소 : 전남 고흥군 과역면 백일리
[무인도서를 만나다]
여수 고서 등대는 작은 바위섬인 납덕고 여와 함께 1개의 바위섬으로 이루어진 무인도서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파도가 거세서 낚시꾼 외에는 인적을 찾아 보기 힘들다.
나로도쪽 해상에서 여수항으로 들어가고자 하는 연안 여객선들에게 항로 표지가 되는 등대가 되고 있기에 개도 앞 해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여도 해당 구간의 협수로를 통과하면 여수 앞바다까지 잠시 넓은 수로를 항해할 수 있게 되며 중간에 위치한 고여도 인지라 항해시 주의해야 한다.
최초 점등일 : 1985년 8월 4일
주소 : 전남 여수시 화정면 개도리 산765
[휴가를 떠난 해변/해수욕장]
울릉도 거북 바위는 보는 방향에 따라 거북이 6~9마리가 바위 위로 오르는 형상을 닮아 거북 바위라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
거북이가 통(마을)으로 들어가는 것처럼 보여 통구미 마을이라고 하며 거북 바위는 울릉도 초기 화산 활동으로 현무암질 용암류가 생성된 후 이보다 점성이 높은 조면암 혹은 포놀라이트 용암이 관입해 형성된 암체이다.
현무암질 용암이 경사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흐른 구조를 관찰할 수 있으며, 곳곳에 관입한 암맥과 냉각대가 관찰 되며 과거에는 섬으로 구성 되어 있었으나 선착장 공사로 육지로 편입 되었다.
주소 : 경북 울릉군 서면 울릉순환로 1049
[무인도서를 만나다]
울릉도 거북 바위는 보는 방향에 따라 거북이 6~9마리가 바위 위로 오르는 형상을 닮아 거북 바위라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
거북이가 통(마을)으로 들어가는 것처럼 보여 통구미 마을이라고 하며 거북 바위는 울릉도 초기 화산 활동으로 현무암질 용암류가 생성된 후 이보다 점성이 높은 조면암 혹은 포놀라이트 용암이 관입해 형성된 암체이다.
현무암질 용암이 경사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흐른 구조를 관찰할 수 있으며, 곳곳에 관입한 암맥과 냉각대가 관찰 되며 과거에는 섬으로 구성 되어 있었으나 선착장 공사로 육지로 편입 되었다.
주소 : 경북 울릉군 서면 울릉순환로 1049
[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여수 소호항은 우리나라 최대의 홍합 산지라는 사실을 아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소호항에는 해안로를 따라 길게 줄지어 있는 홍합 작업장이 멸치 배처럼 나란히 서 있다.
청정 가막 만에서 채취한 홍합은 소호항 어민들에 의해 세밀한 선별 작업을 거친 뒤 수산 시장을 통해 유통되는 구조이며 제철인 1월에 가면 산더미처럼 홍합이 쌓여있는 진풍경을 마주할 수 있다.
바다 너머 가덕도와 장도를 바라보며 산책을 즐길 수 있는 데크 길도 조성되어 있으며, 방파제를 따라 걷다 보면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활동했던 곳이자, 거북선이 출정하던 선소를 만날 수 있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소호동
[무인도서를 만나다]
인천 옹진군의 북장자서 등표는 1903년 6월에 불을 밝힌 후 오늘에 이르고 있는 역사 등대로 현존하는 등표이며 굳건한 역사를 안고 있다.
옹진군 앞바다에 줄지어 있는 부도 등대, 백암 등표와 더불어 역사를 안고 있는 등표이지만 여객선의 노선이 없어 일반인은 접근하기 어렵다.
팔미도에서 시작하여 선미도까지 인천 옹진군의 바닷길에서 역사를 지닌체 묵묵히 불을 밝히는 등표 역시 아름답기 그지없으며 인천으로 입출항 하는 길목에 작은 암초로 있어 위험한 위치에 있다.
주소 : 인천시 옹진군 연흥면 외리 해상
[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고려 시대 어느 후궁이 귀양 와서 거주하면서부터 경도라고 불렀고, 섬 전체가 고래처럼 생겼다고 해서 경정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1910년경 섬 주변 바다가 거울과 같이 맑다고 하여 경호도라고 불리웠으며, 지금은 두 개의 섬 중 큰 섬을 대경도라 하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여천군 돌산면에 편입되었다.
최고점인 92m의 구릉지를 중심으로 완만한 지형을 이룬다. 해안선은 복잡하며 대부분 사질해안이고, 북쪽 해안의 만입부에는 간석지가 펼쳐져 있다.
정기여객선과 나룻배가 왕래하여 육지와의 교통도 매우 편리하다. 안몰 성터와 여씨 시조설이 전하고 있으며 마을 평안을 위한 당제도 지냈었다.
주소 : 전남 여수시 대경도길 2
[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일반적으로 국가 어항에는 동떨어진 방파제나 파제제 등대가 있기 마련인데 항구로 들어오는 초입이기에 요즘 신설되는 등대는 거의가 디자인화 되고 있다.
동단과 서단에 적색과 황색의 물고기가 낚시에 걸린 모양으로 설치 되어있으며 멀리서도 식별이 쉽기에 오가는 선박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국동항 주변에는 옛 선착장 부지에 공원을 조성하여 여러 예술품과 조형물이 있어 국동항을 찾는 여행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가 어항으로서의 여행객이 끊임없이 항구를 찾아 오고 있다.
주소 : 여수시 국동항 앞 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