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머리를 자르고 나선 길에 갑자기 비가 내린다.
지나가는 비를 보다가 무심코 들어선 카페 상큼한
자몽향에 이끌린 듯 앉은 카페.
지나가는 모든 것이 풍경이 되는 지금 참으로
여유롭기만 하다. 매일이 이런 여유로움으로
다가오면 얼마나 좋을까.
마음의 여유는 갑자기 만들어져 갑자기 비어 버린
시간처럼 내게 여유를 준 카페이다.
주소 : 경남 진주시 초장로 120번길
전화 : 055-920-3300
[카페]
차와 예술 문화가 흐르는 공간 갤러리 카페는 도예가들의 예술을 곁들여 볼 수 있는 갤러리 카페이고,
지금은 코로나 관계로 3층에서 전시가 열리고 있진 않지만 코로나가 안정되면 많은 작품을 만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진주에서 문화 갤러리가 귀한 만큼 많은 예술가들의 작품을 만날 수 있고 관람객과 예술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 할 수 있다.
주소 : 경남 진주시 정촌면 화개천로54번길 33-17
전화 : 010-9005-5954
[카페]
대대로 이어 내려온 술을 빚는 집 솔송주 문화관에
들어서면 그냥 들어서자마자 이태백이 자연스럽게 생각나게 되는 문화관이다.
전통주를 체험으로 빚어 보면서 조상의 술문화를 접해 볼 수 있고, 술도 약이 될 수 있음을 알게 되는 문화관이다.
그리고 500년 전통주를 시음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애주가들에게 반가운 이야기이며 술독에서 흘러나오는 술향기에 매료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주소 :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길 50-6
전화 : 055-963-8993
[카페]
지리산 둘레길을 트래킹 하다 보면 주변 풍경에 매료되기 마련이다. 때론 깊은 계곡을 따라 올라가다가 펜션과 카페를 보면 산 속에도 이런곳이 있구나
하고 감탄을 하기도 한다.
매년 동호회와 문학인들이 모여 발표회를 갖기도
하고, 자연과 더불어 하나가 되는 또 다른 지리산이 품은 모습을 보며 밤을 밝히게 된다.
갑작스럽게 내리는 비를 맞으며 사계가 예쁜 시인의 정원 북카페를 떠올려본다.
주소 : 경남 하동군 화개면 범왕길 102
전화 : 055-884-7456
[카페]
구례를 여행하면 반드시 코스에 들어가는 운조루를
들린 다음 눈에 띄는 다실이 보인다.
이곳이 정산서다실인데 차와 커피가 있기에
기호대로 마시면 되는 다실이다.
커피도 나오는데 여느 카페에서 보지 못한 커피잔에 담겨 나오기에 한 잔을 마셔도 우아한 느낌을
마시게 된다.
차분한 산골 행기를 더불어 마시게 되고
주변 풍경을 보며 쉼을 갖게 되는 다실이다.
주소 : 전남 구례군 토지면 곡전재길 15-3
전화 : 061-781-8654
[카페]
하동 쌍계사를 여행하고, 봄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벚꽃길을 여행했다면 아마도 녹차향이
그윽하게 전해 오는 넓은 정원 카페 더로드101을
들리게 될 것으로 보인다.
아름다운 조경 정원과 하동 녹차 밭이 한 눈에 들어오는 조망속에서 사계의 자연이 더불어 주는 벚꽃 십리 길의 꽃 터널을 눈으로 감상할 수 있다.
비가 내린 후 피어오르는 안개는 서정적 운치를 자아내기에 주저 없이 창가에 앉아 자연의 풍경에 빠진 나를 돌아볼 수 있는 느낌이 있는 카페이다.
주소 : 경남 하동군 화개면 화개로 357
전화 : 070-4458-4650
[카페]
오늘은 마냥 그리움이 내린다
하염없이 마냥보는 들판에 그리움이 내리는데
나는 이리 그리움에 젖어 가는데
그대는 왜 향기에 젖지 않는가
그냥 앉아서 바라만 보아도 스스로 시인이 되는 카페
하동의 꽃다연 카페이다.
사계절이 아름다운 카페가 세상 어디에 있을까
아마도 하동 꽃다연일 것이다.
주소 : 경남 하동군 악양면 소축길 105
전화 : 010-4933-7710
[카페]
우리나라에서 개업시기로 볼 때 오래된 3대 빵집이 있다. 군산 이성당, 대전 성심당, 목포 코롬방이
바로 그 주인공 이름이다.
이 중 코로방 제과는 직원들이 별도로 다른 곳에 개업하여 15년 정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반하여 코롬방 제과는 본 건물주가 직접 운영하기에 빵집의 역사를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오랜 시간이 흐른다 하더라도 맛도 맛이지만 오래된 스토리를 바탕으로 다른 2대빵집처럼 그 스토리를 이어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주소 : 전남 목포시 영산로75번길 7
전화 : 061-244-0885
영업 시간 : 매일 08:00 - 21:00 연중 무휴
[카페]
양과점 1787 가게는 필자가 근대화 거리 중에서 가장 예쁜 건물로 손꼽는 가게 중 하나이다. 사진만 찍어도 예쁜 적산가옥인데 여러 가게들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오래된 가옥을 리모델링을 하여 옛 것을 그대로 살리고 운영하는 가게이다.
그외에도 근대화 거리를 걷다 보면 적산가옥 형태의 집을 많이 보게 되는 데 십년이 지난 다음에는 목포가 또 어떤 모습으로 탈바꿈을 할런지 기대가 된다.
한때는 정치인의 투기 사건으로 근대화 거리를 조성하면서 잠시 주춤거리기도 했지만 다시금 백년 거리의 전성기가 찾아 왔으면 한다.
주소 : 전남 목포시 영산로 29번길 6 주변
[카페]
요즘 카페 트랜드는 빈티지와 창고형 카페가 주를
이루는 듯 하다.
그러다 보니 오히려 빈티지가 이상한 것이 아니고
자연스럽게 다가온다고나 할까.
가격면은 여행객의 주머니가 녹록치 않을 때 조금은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음에 가격 대비로 주문을 받는
것은 또 어떨까?
1인 1잔은 에티켓이 아닌 정으로 파는 것도 카페를 더욱 알릴 수 있는 장점도 있음을 말하고 싶다.
주소 : 목포시 유동로42번길 5
전화 : 061-282-7739
[카페]
목포에서 근대로의 길을 시간 여행 하면서 갈증을 해소 하고 쉼을 가지고 싶다면 행복이 가득한 집 카페를
권하고 싶다.
빈티지한 가정집을 그대로 리모델링하여 루프탑 모양의 2층을 겸비한 카페이기도 하지만 단지 아쉬움이 있다면 정원이나 사진찍는 여행객을 홀대하는 듯한 안내 문구가 조금 아쉬운 카페이다.
여행의 맛은 그 지역의 인심도 들어있음을 인지하고
정문에 쓰여진 아쉬운 문구는 없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주소 : 전남 목포시 해안로165번길 45
전화 : 061-247-5887
[카페]
남해는 어디를 가던 여행객의 마음을 사로잡을 곳이지만
독일 마을에 비해서 미국마을은 한적하기 그지없다.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스토리를 겸하여 완성한다면
독일마을처럼 많은 관광객이 올 성 싶지만 지금은
스토리 면에서 독일마을에 뒤지고 있는 현실이다.
그렇다 보니 잠시 들려 차한잔을 할만한 장소도
부족하고 쉴만한 공간이 펜션 외에는 없는 것이 아쉽다.
그나마 카사비앙카가 있어 잠시의 쉼을 가질 수 있어
참 좋다.
주소 :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소리 9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