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시에 있는 야도 등대는 무인 등대로 육지인 국동항에서 바라다 보이는 등대인데 다른 등대와 달리 만조시에 바닥 부분이 물에 잠기기도 하며 백색이 아닌적색 등대이기에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항로표지 가운데 유일한 적색 등대이며 이는 우측 항해를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에 백색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야도 등대는 우현 항로 표지 역할을 하는 등대이고, 이런 우현 항로 표지 등대는 방파제 등대가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섬에 있기에 조금은 이례적이다.
최초 점등일 : 1979년 11월 12일
주소 : 전남 여수시 경호동 산 155-1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함구미 등대는 금오도의 북서쪽 함구미의 끝단 해안 바위 돌출부 위쪽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등대로써 여수 항로의 길목에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등대가 위치한 곳은 함구미 항의 서편 금오도의 북서쪽 끝자락으로 여수항과 함구미항, 금오도 직포와 연도를 연결하는 연안여객선의 항로이다.
등대 바로 북쪽에는 막걸리로 유명한 개도가 자리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 부근을 지나는 연안여객선들은 함구미 등대를 지나 개도와 월호도 사이의 협수로를 통해서 여수 항로로 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초 점등일 : 2000년 9월 5일
주소 : 전남 여수시 남면 유송리 산 337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풍락도는 한자로 보면 큰 바람에 떨어져 나갔다 하여 풍락도라는 지명을 갖게 된 것처럼 육지에서 바라다 보이는 위치에 있다.
또한 노랑도 북서쪽에 위치한 해발고도 15미터로 낮은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 암반해빈으로 구성된 작은 섬이다.
주변 수심이 낮아 큰 배는 접안하기도 힘든 해안이며 간조에는 접근하기도 힘든 낮은 수심을 이루는 지역이기에 경호동이 보이는 해안가에 무인등대가 있어 항해하는 선박에게 항로표지 역할을 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15년 10월 15일
주소 : 전남 여수시 경호동 산 171번지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초도는 섬 중앙의 상산봉을 최고점으로 하여 동서·남쪽으로 작은 곶이 뻗어 있고, 그 사이에 작은 만이 이루어졌으며, 북서 해안에 마을이 있다.
초도 등대는 항구와 인접한 솔거도라는 작은 무인도서에 위치하고 있으니 초도에서 등대를 찾을 수 없음을 현장에 가서 알게 된다.
초도 등대는 남해안의 포구에서 초도를 거쳐서 거문도항까지 오가는 선박들의 항로 표지가 되고 있으며 인근 수심이 낮은 해안과 암초 무더기로부터 보호가 되기에 초도 등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초 점등일 : 1982년 6월 30일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초도리 산 1773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지마도 등대는 북단에 위치하고 있기에 산에서 접근은 힘들고 선박을 이용하여 갯가에서 입도로 찾아볼 수 있는 무인등대이다. 남서쪽의 손죽도항을 찾아가는 연안 여객선들에게 있어서 항로를 안내해 주는 길잡이의 역할을 해 주는 등대이다.
현재는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관리 되고 있으며, 해안은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급한 경사면을 형성하기에 해식 동굴과 해안 경관이 뛰어난 섬이다.
일반적으로 나로도항에서 출발한 손죽도행 여객선들이 지마도와 무학도 사이의 수로로 통과하는 것이 일반적이기에 지나가며 등대섬을 만날 수 있는 항로에 위치하고 있는 섬이다.
최초 점등일 : 1998년 8월 10일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 산 1760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탕건여 등대는 외나로도 남쪽 해상에 자리한 암초 정상부에 위치한 무인등대로 외나로도 남쪽 해상을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위치표시를 해 주고 있다.
이 등대와 외나로도 사이의 중간쯤 되는 해역에는 곡두여라는 바위암초가 동서방향으로 길게 뻗어있기 때문에 항해할 때 주의가 요구되는 곳에 위치한다.
이 등대는 일제강점기 당시 전남지역의 물자를 수탈하여 부산항이나 일본 방향으로 가는 선박들이 많이 이용하던 항로이며 1926년에 최초 점등하였다.
최초 점등일 : 1926년 10월 12일
주소 : 전남 고흥군 봉래면 외초리 산 318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중결도 등대는 보든아기섬이라는 이름을 가진 무인도서 정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정도서로 지정후 관리되고 있는 섬이다.
섬 동편 7km 해상에는 무학도 등대가 자리하고 있고
손죽열도의 북쪽 경계선을 이루고 있으며, 거금도와 금일도, 손죽열도 사이의 넓은 해역 가운데 쯤에 있는 항로표지 역할을 하는 등대이기도 하다.
반쪽면이 절단 형태로 보이는 절벽은 타포니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가을철이나 비가 오는 날은 서정이 깃든 섬으로 보여 무인도서의 절경을 보여준다.
최초 점등일 : 1999년 12월 14일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초도리 산 2934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백금 등대는 안도의 북동쪽 해안 끝자락인 바위 위쪽에 자리한 무인 등대로 여수 해역에서 주로 보이는 같은 형태로 된 등대이다.
등대의 북서쪽 해역에는 초, 중, 외삼도와 같은 작은 섬과 각종 간출암과 노출암들이 줄지어 있는 해역으로 항해시 주의해야 하는 구역이다.
여수항 방향으로 향하는 선박의 경우 백금 등대의 정북방향에서 서쪽으로 가지 않도록 권장되는 해역이며 지역 이름을 따서 백금 등대가 되었다.
최초 점등일 : 1985년 9월 25일
주소 : 전남 여수시 남면 안도리 산 17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작도 등대는 소리도(연도) 동편 해상인 작도 정상부에 위치한 등대로 연도 최남단에 위치한 항로 표지 관리소인 소리도 등대에서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무인도서인 작도 정상에 위치한 작도 등대는 백색 사각의 철탑조 20m높이의 등대로, 서해 1기와 최초 철탑 등대인 방화도 등대처럼 앵글철탑조로 되어 있다.
작도 등대와 소리도 등대 사이의 수역은 제주항과 삼천포항을 오가는 선박들과 남해 먼 바다에서 북쪽에 위치한 광양항으로 들어가는 대형선박의 항로다.
최초 점등일 : 2002년 12월 31일
주소 : 전남 여수시 남면 연도리 산607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남해 와도 등대는 노량대교를 건너면서 보이는 무인도서 등대인데 작은 섬 2개로 이루어진 개구리 섬에 위치하며 육지에서 바라 보이는 등대이다.
주변 수심이 낮고 접안하기가 힘든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작은 섬 하나와 더불어 2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와도인데 개구리가 웅크린 모양이라 그리 부른다.
먼바다에서 육지로 올라오는 바닷길에 해당하며 주변에 보이지 않는 암초가 많고 수심이 낮아 항해하는 선박에게 와도 등대의 역할은 클 수밖에 없다.
최초 점등일 : 1991년 10월 30일
주소 : 경남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산 93-1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여자도 등대는 여자만에서 육지로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적금도 앞바다에서 만나게 되는 중앙에 있는 머그섬에 위치하고 있다.
적금도 동편 앞바다에 위치한 작은 바위섬인 머그섬 위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등대로 이 섬을 오도라고도 부르고 있어 등대 이름이 오도 등대가 된 듯 하다.
등대의 남쪽 해역은 말 그대로 좁은 수로이며 수심이 낮아 항상 위험이 도사리고 있으며 곳곳에 어망이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는 노출암으로 사실상 막혀있는 고립 수로가 되기에 등대의 역할이 중요하다.
최초 점등일 : 2002년 9월 28일
주소 : 전남 여수시 화정면 적금리 산4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역만도 등대는 무인도인 역만도의 북쪽 끝단 바위해안가에 위치한 무인등대로 역만도는 거문도와 손죽도 사이의 해역에 자리하고 있다.
등대 위치는 나로항 방향과 거문도항 방향 사이를 오가는 선박들이 거의 지나가는 지점이며 제주항과 삼천포항을 오가는 선박들이 지나는 해로가 교차하는 지역의 수로이다.
역만도 등대 바로 앞 바다에는 크고 작은 노출암들이 여러 개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어선의 크기가 있는 선박들은 암초에 주의해야 하기에 등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최초 점등일 : 1984년 7월 16일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 산 17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