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지방 해양수산청]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길 43에 있는 작은 항구이며 안인진항이라고도 한다. 항구와 안인 해수욕장이 바로 인접해 있으며 2개의 방파제가 항구를 에워싸고 있다.
항구 북쪽으로 군선강이 있고 강물과 바닷물이 합류하는 지점에는 다양한 어종의 물고기가 잡혀 낚시꾼들에게 인기가 많다.
안인항은 가자미로 유명한 곳인데 항구 주변으로 가자미 활어회를 판매하는 회센터가 들어서있다. 7월 말에서 8월 중순까지 이 일대로 가자미 축제가 열린다.
주소 : 강원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길 47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소매물도는 통영항에서 약 26㎞정도 떨어져 있으며, 면적이 2.51㎢, 해안선 길이 5.5㎞에 불과한 작은 섬으로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에 속한다.
경남 통영에서 배로 약 1시간 10분 정도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거제도 저구 항으로부터는 배로 약 30분 정도 밖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가깝다. 북쪽 해상 일대는 한려해상 국립공원에 해당한다.
한려해상에 속하는 섬중 가장 아름다운 섬이며 썰물시에만 걸어서 들어가는 등대섬이 있어 많은 이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섬이다.
주소 : 경남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소매물도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인천 중구에 위치한 팔미도는 사주에 의하여 연결된 두개의 섬이 마치 여덟팔자처럼 양쪽으로 뻗어 내린 꼬리와 같아 팔미도라 불려졌다고 한다.
인천 사람들에게는 팔미귀선 즉 낙조에 팔미도를 돌아드는 범선의 자취가 아름다워 인천 팔경의 하나로 꼽혔던 해상 경승지였다.
일본과 우리정부가 체결한 통상장정에 따라 조선왕조는 1903년 6월 높이 7.9m, 지름 2m의 팔미도(구)등탑을 만들었다.
주소 : 인천 중구 무의동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소청도에는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설치된 등대가 있는데 섬의 서쪽 끝에 1908년 설치된 등대이다. 점등 당시의 등명기가 지금도 광채를 발하며 백 년 동안 쉬지 않고 돌고 있다. 그 밝기가 촛불 15만개를 동시에 켠 것과 같다고 한다.
서북해 일대와 함께 중국 산둥반도, 만주 대련지방을 항해하는 각종 선박들의 길잡이 역할을 해왔다.
8.15광복 후 오늘날까지 숱한 우여곡절 속에 해상 휴전선의 등불이 되어 남북한 어민의 생명과 재산을 구해 온 소청도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1908년 1월 1일
주소 : 인천 옹진군 대청면 소청서로 279 소청도등대
[부산 지방 해양수산청]
세계 등대 역사와 해양 문화에 관한 전문가 강좌 및 스마트폰으로 등대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해 앨범을 제작하는 마이 등대 스토리 만들기 등을 진행하면서 더욱 알려진 등대이다.
중리항 등대는 여느 방파제 등대와 달리 원형통 안에 2개의 벤치가 놓여 있어 바다와 노을을 감상할 수 있으며, 이곳에 서면 부산항 묘박지 전경을 한 눈에 내려다 보이기에 풍경마저 신선하게 다가온다.
섬마을을 둘러보는 등대 스템프 외에도 들려볼 수 있는 예쁜 등대이기에 노을이 보고 싶은 여행객에게 권해 보고픈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2018년 8월 30일
주소 : 부산 영도구 동삼동 1113-16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행을 하다 보면 스토리가 있던 없던 그 지역의 랜드마크가 있기 마련인데, 이런 중심이 바로 스토리를 만들어 내고 그 지역을 성장 시키는 원동력이다.
단순하게 구경으로 끝나는 여행보다는 그 지역이 안고 있는 스토리를 읽는 능력을 갖춘다면 그는 여행자의 기본을 갖추고 여행한다고 할 수 있다.
하멜 등대 역시 낮에 보는 것 보다는 여수 밤바다에서 조명을 안고 볼 때가 훨 감성적이며 22년 4월의 등대로 해수부에서 지정하였지만 스템프 좌표가 틀려 애로 사항이 많은 지금이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종화동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통영시 도남항에 방파제에 설치된 연필 모양의 등대를 말한다. 처음 이 등대를 보고서 등대 모양이 연필 모양임을 한 눈에 알아채는 여행객이라면 필시 많은 검색을 통해서 찾은 여행객이라 할 수 있다.
멀리서 보면 연필 모양이 잘 드러나지 않지만 가까이 갈수록 연필임을 알게 되는 재미나는 등대이다.
이 모양은 통영 출신의 문인과 예술가들의 업적을 기르기 위해 연필 모양으로 만들었다고 하니 사연을 알고 보면 더욱 통영을 사랑하게 된다.
최초 점등일 : 2009년 09월 28일
주소 : 경남 통영시 경남 통영시 미수해안로 125-5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목포구 등대는 해양 문화 공간 조성으로 목포항으로 입·출항하는 선박의 길잡이 역할을 해오던 곳인데 등록문화재 등대는 안쪽에 위치하고 있고 날개형의 신 등대는 아름다운 등대로 알려져있다.
구 목포구 등대는 육지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좋은 곳으로, 지역 상징하는 삼학도와 강강수월래 조형물이 설치되어있어 볼거리가 풍성해진 공간이 되었다.
이곳은 봄과 가을에 등대 뒤로 넘어가는 노을이 일품인 곳이다.
주소 : 전남 해남군 화원면 매봉길 582
전화 : 061-536-0434
[평택 지방 해양수산청]
제부도 등대는 2007년에 완공하여 또 다른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다. 많은 관광객이 다녀간 등대에는
많은 사연 글이 적혀 있어 애틋한 사랑의 기록이 되고 있다.
빨간색의 등대는 멀리서도 시선을 끌기에 충분하며
한나절 갯벌 체험과 동시에 트래킹으로 돌아볼 수
있는 곳이지만 물 때를 반드시 전화로 알아보고 들어가야 한다.
주소 : 경기 화성시 서신면 해안길
전화 : 1577-4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