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 지방 해양수산청]
태안 마검포항 등대는 서편의 간석지 바위 해안에 자리하고 있는 등대이지만 물에 잠기는 하단부를 보면 등표처럼 보이는 백색 등대이다.
마검포항 인근을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항로표지가 되고 있으며 주로 마검포항으로 들어오는 어선들과 북쪽 방향에 자리하고 있는 몽산포항을 이용하는 선박들에게 길잡이 역할을 하는 등대이다.
등대 바닥의 높이를 보면 기준 해수면인 0m인 특이한 경우에 해당하며 연안 항로표지 등대 중에서 바닥높이가 기준 해수면과 일치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00년 9월 19일
주소 : 충남 태안군 남면 신온리 산 176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파제제 방파제의 역할은 먼바다에서 들어오는 해일이나 파도를 막고자 항구의 입구 또는 좌우측에 동떨어진 방파제를 말하는데 이곳은 걸어서 갈 수가 없다.
목포 북항 방파제에서 노을이 들무렵 풍차 등대 앞 안전망 뒤로 보이는 2개의 방파제를 말하는데 백색과 황색으로 이루어진 방파제를 말한다.
주로 중요어항과 국가 어항에는 돌제부두 방파제 등대와 더불어 동떨어진 방파제가 있기 마련인데 황색으로 된 방파제가 주를 이룬다.
최초 점등일 : 2017년 06월 27일
주소 : 전남 목포시 죽교동 북항 전면 해상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파제제 방파제의 역할은 먼바다에서 들어오는 해일이나 파도를 막고자 항구의 입구 또는 좌우측에 동떨어진 방파제를 말하는데 이곳은 걸어서 갈 수가 없다.
목포 북항 방파제에서 노을이 들무렵 풍차 등대 앞 안전망 뒤로 보이는 2개의 방파제를 말하는데 백색과 황색으로 이루어진 방파제를 말한다.
주로 중요어항과 국가 어항에는 돌제부두 방파제 등대와 더불어 동떨어진 방파제가 있기 마련인데 황색으로 된 방파제가 주를 이룬다.
최초 점등일 : 2017년 05월 11일
주소 : 전남 목포시 죽교동 북항 전면 해상
[대산 지방 해양수산청]
서산 간월암 주변에 있는 작은 방파제에 서 있는 주변에 간월암이 있어 노을 무렵에는 등대 주변에 언제나 여행객이 붐비는 등대이다.
간월암은 서해 노을의 랜드마크라 할 정도의 아름다운 노을 색을 보여주며 주변 풍광이 아름다워 끊임없이 여행객이 찾는 방파제 등대이다.
무학 대사의 설화에서 따온 듯한 방파제에 그려져 있는 그림은 학이 나는 모습으로 꾸며져 있으며 야경 역시 아름다운 등대 중 하나에 속한다.
최초 점등일 : 2019년 6월 14일
주소 : 충남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 26-28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바위섬인 민계도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등대는 설치된 지가 그리 오래 되지 않았지만 칠산대교 개통 이후로 중심에 서 있는 등대가 되었다.
등대가 자리한 민계도는 그다지 크지 않은 바위섬으로 사실상 노출된 암초에 해당하여 들어갈 방법은 어선밖에 없어 섬이 자연스럽게 보호되고 있다.
등대 남쪽의 항로는 영광군 관내의 섬들을 연결해 주는 연락선들이 영광군 본토에 자리한 향화도항으로 들어오는 초입에 해당하는 자리이다.
최초 점등일 : 2009년 1월 2일
주소 : 전남 영광군 염산면 옥실리 산242
[군산 지방 해양수산청]
군산해수청에 속한 가진서 등대는 어청도항으로 진입하는 길목에 있는 바위섬인 가진서 정상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등대이다.
등대와 어청도 사이로 어청도항으로 입항하는 여객선의 항로가 지나가며 낚시 어선 외에는 입도할 수 없는 작은 바위섬이다.
어청도항은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어 있어서 상당수의 어선들이 이용하는 항구이다 보니 많은 선박의 주요 항로 표지가 되기에 어청도의 초입이 되는 지점에 위치한 암초인 가진서 위에 등대를 설치하였다.
최초 점등일 : 1989년 12월 18일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리 인근 해상
[군산 지방 해양수산청]
군산 치두도 등대는 치두도 남쪽 끝단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 등대로 북쪽 700여m지점에 있는 비안도 항의 입구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연안표지 등대이다.
비안도에서 5분 거리에 있지만 무인도서인 관계로 여객선은 없으며 낚시 어선을 타고 입도해야 불편한 등대섬으로 남아 있다.
일반 여객선은 치두도의 서편으로 항해하여 등대의 남쪽 앞바다를 통하여 치두도 동편으로 돌아나간 뒤 비안도항으로 들어가기에 등대의 역할이 중요하다.
최초 점등일 : 2000년 11월 16일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비안도리 산 78
[군산 지방 해양수산청]
군산 역경 등대 주변은 암초가 많아 항상 주의해야 하며 죽도 등표와 마주하고 있으며 암초 군락이 형성 되어 여느 여보다도 암초가 군락으로 형성 되어 있어 개야도를 중심으로 6개의 등표가 설치 되어 있다.
역경 등대가 위치한 곳은 바위섬이자 이용 가능한 섬에 해당하며 암벽이 모두 편리구조가 발달되어 있고 주로 타포니가 발단되어 있다.
북쪽에서 항해해 온 선박이 군산항의 잡화 부두나 6부두 쪽으로 입항하고자 할 때는 이 등대를 왼편에 두고 남서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최초 점등일 : 1986년 10월 16일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개야도리 산 10
[군산 지방 해양수산청]
군산 연도 등대는 군산항에서 북서쪽으로 23㎞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힘든 오르막을 여러번 지나면 산 정상에서 역사 등대급 백색 등대를 만나게 된다.
연도는 여수 연도와 같은 이름으로 되어 있어 앞에 항상 군산을 붙여 표기하고 있으며 어청도를 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항해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청도를 오가는 정기 여객선이 하루 2번 오가기에 등대를 만나기에 용이하고 생긴 모양은 둥근 원형으로 되어 있어 멀리서도 관찰할 수 있다.
최초 점등일 : 1970년 12월 10일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연도리 산 3-18
[군산 지방 해양수산청]
군산 연도 등대는 군산항에서 북서쪽으로 23㎞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힘든 오르막을 여러번 지나면 산 정상에서 역사 등대급 백색 등대를 만나게 된다.
연도는 여수 연도와 같은 이름으로 되어 있어 앞에 항상 군산을 붙여 표기하고 있으며 어청도를 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항해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청도를 오가는 정기 여객선이 하루 2번 오가기에 등대를 만나기에 용이하고 생긴 모양은 둥근 원형으로 되어 있어 멀리서도 관찰할 수 있다.
최초 점등일 : 1970년 12월 10일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연도리 산 3-18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선도 해상에는 2개의 등표가 떠 있는데 선도 선착장 앞에 위치한 남방등표는 작은 황흑원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세워져 있으며 수심은 낮은 해상에서 선박의 항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모양은 작은 원형이며 새로 신설된 년도가 22년이니 이제 1년도 안된 등표이지만 나름 수선화 섬인 선도와 제법 어울리는 모양으로 되어 있다.
등대가 설 수 있는 위치가 아니기에 마산도와 병풍도를 오가는 선박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등표이며 갯벌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 수심을 보기에도 좋다.
최초 점등일 : 2022년 06월 29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지도읍 선도리 선도 남방해상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여자도 등대는 여자만에서 육지로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적금도 앞바다에서 만나게 되는 중앙에 있는 머그섬에 위치하고 있다.
적금도 동편 앞바다에 위치한 작은 바위섬인 머그섬 위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등대로 이 섬을 오도라고도 부르고 있어 등대 이름이 오도 등대가 된 듯 하다.
등대의 남쪽 해역은 말 그대로 좁은 수로이며 수심이 낮아 항상 위험이 도사리고 있으며 곳곳에 어망이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는 노출암으로 사실상 막혀있는 고립 수로가 되기에 등대의 역할이 중요하다.
최초 점등일 : 2002년 9월 28일
주소 : 전남 여수시 화정면 적금리 산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