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지방 해양수산청]
녹색의 원형으로 제작된 군산 닭섬 등표가 있는 주변은 수중 암초가 많고 이 지역을 처음 항해하는 선박에게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표이다.
등표가 있는 주변은 물살이 쎄고 수로가 좁은 편이며 간조에는 바닥이 항해하는 배가 걸릴 정도이다 보니 정기 여객선 보다는 어선이 주를 이루는 곳이다.
또한 섬이라기 보다는 여에 가깝고 만조에는 여가 잠길 정도이니 야간에는 위험을 고지하고 주의를 해야하는 곳이기에 여느 등표 보다도 중요한 위치이다.
최초 점등일 : 2006년 09월 09일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선유도리 전면해상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통영의 대구을비도는 특정도서로 지정됐지만 한시적으로 낚시를 허용하여 오히려 쓰레기와 용변 흔적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무인도서이다.
이곳에는 주변에 소구을비와 함께 암초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등대급 등표가 우뚝 솟아 있는 보기에 예쁜 섬이라고 할 수 있다.
폭발성 화산 활동으로 생긴 성층화산체 구조의 섬으로 해식애와 급경사 수직절리가 발달되어있으며 경사가 심하고, 식생이 없어 조류의 서식이 없다.
최초 점등일 : 2004년 11월 10일
주소 : 경남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산 67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시에 있는 야도 등대는 무인 등대로 육지인 국동항에서 바라다 보이는 등대인데 다른 등대와 달리 만조시에 바닥 부분이 물에 잠기기도 하며 백색이 아닌적색 등대이기에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항로 표지 가운데 유일한 적색 등대이며 이는 우측 항해를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에 백색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야도 등대는 우현 항로 표지 역할을 하는 등대이고, 이런 우현 항로 표지 등대는 방파제 등대가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섬에 있기에 조금은 이례적이다.
최초 점등일 : 1979년 11월 12일
주소 : 전남 여수시 경호동 산 155-1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시에 있는 야도 등대는 무인 등대로 육지인 국동항에서 바라다 보이는 등대인데 다른 등대와 달리 만조시에 바닥 부분이 물에 잠기기도 하며 백색이 아닌적색 등대이기에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항로표지 가운데 유일한 적색 등대이며 이는 우측 항해를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에 백색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야도 등대는 우현 항로 표지 역할을 하는 등대이고, 이런 우현 항로 표지 등대는 방파제 등대가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섬에 있기에 조금은 이례적이다.
최초 점등일 : 1979년 11월 12일
주소 : 전남 여수시 경호동 산 155-1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신안 임자 수도 등대는 수도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연륙교가 개통되어 육지가 되었지만 육로로는 등대에 가 보기가 힘든 섬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어선과 여객선 안전 항해에 큰 도움을 주고 있으며 임자면 수도 수로를 따라 조업하는 100여 척의 어선들에게 중요한 항로표지가 되고 있다.
높이 11m의 이 등대는 성화 모양을 형상화 했으며 조형미와 기능성을 갖춰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자 했지만 정작 육로에서는 등대가 보이지 않아 관광의 기능은 할 수 없는 듯 하다.
최초 점등일 : 2008년 1월 5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임자면 수도리 산 2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경남 거제에 있는 서이말 등대는 현재 들어 가는 입구부터 좁은 길로 들어가지만 거의 입구에 이르러 우측으로 군부대가 상주하고 있어 제약이 있다.
서이말의 유래는 땅끝 모양이 마치 쥐의 귀를 닮았다고 해서 쥐 귀 끝이라는 데서 유래했다고 했는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드론이 답이지만 군부대 지역 관계로 드론을 띄울 수가 없는 지역이다.
서이말 등대는 군사 지역을 통해 가야 해 신원 확인을 거쳐야 하는 등 다소 번거로운 점이 있긴 하지만 그 때문에 천혜의 절경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44년 1월 5일
주소 : 경남 거제시 일운면 서이말길 478
[울산 지방 해양수산청]
울산에 있는 나사 등대는 해안가 절벽 위에 있는 무인 등대로 북쪽의 간절곶 등대에서 원격으로 관리하고 있는 등대이다.
등대의 위치는 해안 도로가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에 용이하고 걸어서 만날 수 있는 등대이지만 전선이 등탑 위로 가로 지르고 있어 보기에 불편하다.
인근 나사못 방파제 등대가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보니 관람객은 작지만 항로 표지로써의 역할은 충분히 해내고 있으며 항해 원조 표지의 추가 설치 필요성에 따라 점등하게 되었다.
최초 점등일 : 2000년 10월 30일
주소 :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나사리 149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복사초 등표는 거대한 철 기둥 4개로 이루어진 등표로 진도 군도와 추자 해협 사이에서 항로를 이끌어주는 소중한 표지 중에 하나이다.
직사각형(흑홍흑 4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에 점검을 통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했으며 거대한 태풍에도 굳건하게 자리를 지켜주고 있다.
등표가 속한 해협은 망망대해 중에 하나이기에 어쩌면 항해하는 선박에게는 외로운 항로에 친구가 되어 줄 불빛에 해당하는 등표일지도 모르겠다.
최초 점등일 : 2003년 12월 05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독거군도 남방 10마일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함구미 등대는 금오도의 북서쪽 함구미의 끝단 해안 바위 돌출부 위쪽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등대로써 여수 항로의 길목에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등대가 위치한 곳은 함구미 항의 서편 금오도의 북서쪽 끝자락으로 여수항과 함구미항, 금오도 직포와 연도를 연결하는 연안여객선의 항로이다.
등대 바로 북쪽에는 막걸리로 유명한 개도가 자리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 부근을 지나는 연안여객선들은 함구미 등대를 지나 개도와 월호도 사이의 협수로를 통해서 여수 항로로 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초 점등일 : 2000년 9월 5일
주소 : 전남 여수시 남면 유송리 산 337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풍락도는 한자로 보면 큰 바람에 떨어져 나갔다 하여 풍락도라는 지명을 갖게 된 것처럼 육지에서 바라다 보이는 위치에 있다.
또한 노랑도 북서쪽에 위치한 해발고도 15미터로 낮은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 암반해빈으로 구성된 작은 섬이다.
주변 수심이 낮아 큰 배는 접안하기도 힘든 해안이며 간조에는 접근하기도 힘든 낮은 수심을 이루는 지역이기에 경호동이 보이는 해안가에 무인등대가 있어 항해하는 선박에게 항로표지 역할을 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15년 10월 15일
주소 : 전남 여수시 경호동 산 171번지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초도는 섬 중앙의 상산봉을 최고점으로 하여 동서·남쪽으로 작은 곶이 뻗어 있고, 그 사이에 작은 만이 이루어졌으며, 북서 해안에 마을이 있다.
초도 등대는 항구와 인접한 솔거도라는 작은 무인도서에 위치하고 있으니 초도에서 등대를 찾을 수 없음을 현장에 가서 알게 된다.
초도 등대는 남해안의 포구에서 초도를 거쳐서 거문도항까지 오가는 선박들의 항로 표지가 되고 있으며 인근 수심이 낮은 해안과 암초 무더기로부터 보호가 되기에 초도 등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초 점등일 : 1982년 6월 30일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초도리 산 1773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지마도 등대는 북단에 위치하고 있기에 산에서 접근은 힘들고 선박을 이용하여 갯가에서 입도로 찾아볼 수 있는 무인등대이다. 남서쪽의 손죽도항을 찾아가는 연안 여객선들에게 있어서 항로를 안내해 주는 길잡이의 역할을 해 주는 등대이다.
현재는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관리 되고 있으며, 해안은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급한 경사면을 형성하기에 해식 동굴과 해안 경관이 뛰어난 섬이다.
일반적으로 나로도항에서 출발한 손죽도행 여객선들이 지마도와 무학도 사이의 수로로 통과하는 것이 일반적이기에 지나가며 등대섬을 만날 수 있는 항로에 위치하고 있는 섬이다.
최초 점등일 : 1998년 8월 10일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 산 1760